자연과 건강을 생각하는 평택 우렁이 농장
작성일작성일작성일 : 09-02-07 09:51

우렁이

페이지 정보

글쓴이 : 우렁이천국

작성일 조회 : 2,609회

본문

tls105.jpg 

중복속목 논우렁과의 속칭.
복족류에 속한다. 논우렁이·논고둥·강우렁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 전라(田螺)·토라(土螺)라고도 한다. 《재물보》, 《물명고》 등에 전라를 우렁이라 하고 육지의 못이나 논에 있다고 하였다. 껍데기 높이 약 40mm, 너비 약 30mm이다. 각피(殼皮)는 녹갈색이다.

나탑(螺塔:체층 위에 있는 층 전체)은 6층이고 봉합(縫合:체층 위에 있는 층 전체)은 깊다. 각정(殼頂)이 침식되는 경우가 많다. 껍데기 주둥이는 넓고 둥글다. 뚜껑은 각질(角質)로 달걀 모양이고 가운데가 오목하며 황갈색으로 반투명이다. 뚜껑의 표면에 중심이 같은 원이 많이 있다.

논이나 소택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겨울에는 건답에서 월동하는 등 장기간 건조함을 참고 견딜 수 있다. 최근에는 농약의 오염으로 그 수가 극히 줄어들고 있다. 암수의 구별이 뚜렷하며, 수컷의 오른쪽 촉수는 구부러져 있어 생식기 기능을 한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체내수정하며 난태생이다. 부화 후 1년이면 생식력을 가진다. 수명이 7∼8년까지인 것도 있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에 분포한다.

우렁이는 이빨이 달린 잡식성이므로 아무거나 다 잘 먹는다.
우렁이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고 수입해 들어온 왕우렁이는 알을 낳는다.
참고로 뱀도 독사종류는 새끼를 낳고 구렁이 종류는 알을 낳는다.

우렁은 육류와 비슷한 정도의 단백질 함량이 들어 있는 데, 지질의 함량이 아주 적어 담백한 맛을 가지고 있다. 칼슘과 철분이 많아 골격형성을 도와주는 식품이다.

♠ 우렁을 먹으면 각기병 예방과 치료에 유효하다.

♠ 황달은 간장의 질병으로 인해 혈액 속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것으로 눈의 흰자위와 피부가 모두 노랗게 된 상태이다. 황달을 포함한 간장병에 있어 한방은 효과적인 처방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우렁이 볶음이다. 우렁이는 약성이 차고 맛이 달며, 간장의 염증성 열을 식혀 주고 아울러서 간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인진쑥은 소염, 심장 기능 강화, 체내 독소 배출에 효험이 있으므로 우렁이와 함께 복용하면 황달 증세를 개선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다.

♠ 폐렴에는 우렁을 직찧어서 그 즙을 먹으면 2 ~ 3일 내에 열이 떨어진다.

♠ 장염에는 우렁이 껍데기 6 ` 10개를 1회분으로 볶아서 가루네어 하루 2회식 3 ~ 4일 복용한다.

♠ 급성 신장염에나 고환염에는 우렁이 속살에 메밀가루를 부리면 우렁이 속살이 녹는다. 이것을 기름종이나, 거즈에 발라 하복부에 붙이고 마르면 바꿔 붙이면 특효이다. 또 우렁이를 껍질째 으깨어 밀가루로 반죽하여 하복부에 붙이면 부종도 낳는다.

♠ 우렁이를 껍질째 찧어 뜨거운 술로 삼킨다. 또 파의 흰 머리를 소금과 함께 찧어 배꼽을 중심으로 두껍게 붙여준다.

※ 영양성분 함량 : 수분 80.6%, 단백질 10.5g, 탄수화물 3.8g, 회분 3.7g, 칼슘 1202mg, 인 87mg, 철 5.8mg.

오시는 길 top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동청리 665 TEL.031-666-6166 FAX.031-666-4144 사업자 등록번호 : 125-91-21336

대표자 : 최회정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0-경기송탄-58 COPYRIGHT (C) 평택우렁이농장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