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건강을 생각하는 평택 우렁이 농장
작성일작성일작성일 : 08-01-19 23:33

친환경농업 개요 및 추진방향

페이지 정보

글쓴이 : 우렁이천국

작성일 조회 : 1,962회

본문

1. 친환경농업의 개념

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농업의 생산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농업형태로서, 농업생산의 경제성 확 보, 환경보전 및 농산물의 안전성 등을 동시에 추구하는 농업.
합성농약, 화학비료 등 화학투입자재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자원의 재활용을 가능케 하여 지역 자원과 환경을 보전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일정한 생산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고 안전한 식품을 생산.


2. 친환경농업 추진의 필요성

가. 농림산물 생산의 지속적 유지
환경문제와 농업의 조화 필요성 대두
지속가능한 농림업을 위한 농업 환경기반의 유지와 보전
농업의 환경 정화기능 극대화 및 환경저해요인 최대한 감축

나. 국민 건강을 위한 안전농산물의 생산
국민들의 안전 농산물에 대한 욕구 증대에 부응
소득증대에 따라 소비자들의 안전농산물에 대한 관심 증대
친환경농업 사업의 단계적 추진


3. 추진방향
목 표 : 농업인과 소비자가 함계하는 친환경농업의 구현

추진전략 :
지역조건, 농가경영규모, 작물특성 등에 알맞는 친환경농업 배치로 농가소득 증대 및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
경종, 축산, 임업이 연계하는 자연순환농업으로 농업환경의 건전한 유지보전과 농업의 다원 적 공익기능 증진

추진과제 :
친환경농업 실천기반 조성
농업인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친환경농업기술 개발 · 보급
종합적인 농토배양 추진 및 축산분뇨 자원화
친환경농업육성 지원
- 친환경농업육성 지원사업 개선
- 유기축산 육성

친환경농산물의 유통활성화
국제협력 강화
산림환경의 개선(친환경임업 육성)


4. 친환경농업 발전 저해요인 및 발전방향
 
저 해 요 인                                                  발 전 방 향
 
□ 정책 및 제도
 
  ○ 개별사업으로 접근                          →  종합적인 프로그램으로 접근
  ○ 품질관리제도 미정착                        →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 일원화 및 선진화
  ○ 친환경농자재 관리제도 미확립          →  농자재 관리제도 개선

□ 친환경농업 실천기반
 
  ○ 화학비료 과다시용 및 토양양분 불균형 → 종합적 농토배양 및 토양양분 종합관리

  ○ 농업용수 수질오염                            → 비료 · 농약 · 축산분뇨 등 환경오염원 감축

  ○ 친환경실천기술 보급 미진                  → 작물별 친환경 표준기술 개발 · 보급

  ○ 토양검정 활용 미흡                          → 농협기능 강화 등 토양검정체계 확립 및 토양정보 전산화
 
□ 친환경농업 실천의지
 
  ○ 농업인 관행재배 선호                      →  가격 차별화로 친환경농업 유도

  ○ 친환경축산 실천의지 결여                →  유기축산기준 마련 및 유기축산 시범사업

  ○ 정부 및 농산관계자 증산 목표 추구    →  친환경식량생산 정책으로 전환
오시는 길 top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동청리 665 TEL.031-666-6166 FAX.031-666-4144 사업자 등록번호 : 125-91-21336

대표자 : 최회정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0-경기송탄-58 COPYRIGHT (C) 평택우렁이농장 ALL RIGHTS RESERVED.